인테리어 필름 필독사항!

인테리어 필름이란?

 기존의 시트지에서 한단계 발전된 형태로 다양한 재질 및 패턴, 난연성,내구성, 시공의 신속성과 편리성을 강조한 스티커형태의 마감재이며 주 성분은 PVC로 되어 있습니다.


인테리어 필름의 특징

◆ 비교적 두께가 두툼

◆ 표면을 엠보싱으로 가공

◆ 고급가구나 인테리어에 주로 사용

◆ 우드, 메탈, 가죽, 스톤 등 친숙한 느낌의 패턴의 다양함

◆ 난연처리가 되어 있는 방염시트 또는 방염필름도 존재


인테리어 마감재
 필름 vs 페인트

◆ 가격 비교

  국내
페인트
 수입 / 친환경
 페인트
필름 
인건비기공 약 20~25만원대 (1인) 
자재비 1250~2000원/m²
(2회 도장 기준)
4500~7400원/m² 
(2회 도장 기준)
5700~7000/m² 
비고 7500~10000원/1L27000~37000원/1L 무늬가 있거나
방염 필름일수록
비싸짐 
1L 당  약5~6m²  2회 도색 가능
확대

인테리어 필름의 장단점

◆ 다양한 패턴과 질감

◆ 오염에 대한 유지관리가 쉽다.

◆ 높은 시공 난이도

◆ 내구성이 강하여 스크레치에 강하다.

◆ 시공 후 냄새가 없다.

페인트의 장단점

◆ 다양한 색상

◆ 오염 및 스크레치에 취약함

◆ 낮은 시공 난이도

◆ 내구성이 낮아 잘 부스러진다.

◆ 필름에 비해 값싼 자재비


필름 시공 과정이 어떻게 될까?

1. 필름을 붙일 면이 오염되어있다면 먼지와 기름기와 같이 오염물을 깨끗하게 제거합니다.

2. 필름을 시공할면과 모서리, 튀어나온 부분을 샌딩기로 문질러 고르게 만들어 줍니다.

3. 패인 부분이 있다면 퍼티를 바르고 말린 뒤 샌딩기로 문질러 평평하게 합니다.

4. 붓으로 먼지를 털고, 필름을 붙일 면에 필름전용 프라이머를 균일하게 발라줍니다.

5. 프라이머가 완전히 마르면 필름을 붙여주는데, 실내기온이 낮다면 열을 가하며 붙여줘야 합니다.

6.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며 이쁘게 필름을 붙여줍니다.

인테리어 필름 시공 일정 선택 주의사항

  • 1 목공→ 필름→ 도배 순서로 잡아야 합니다.
     
     필름을 먼저 하고 도배를 나중에 해야 필름을 벽지가 살짝 덮으면서 별도의 처리 없이도 떨어지지 않게 잡아줍니다. 
    필름 시공하는 날엔 다른 공정을 같이 잡지 않는 게 좋습니다.

    인테리어 시공은 위에서 아래로 천장부터 바닥까지 위에서 아래로 시공하셔야 합니다. 
    Ex) 목공(천장, 벽체, 붙박이장, 기타 구조물) -> 전기, 소방 (조명, 스프링쿨러 등등)  -> 인테리어 필름 시공 -> 바닥 (장판, 마루, 타일) -> 도배 (최종)


  • 2 다른 공정으로 인하여 필름을 붙이는 면에 먼지나 티끌이 묻게 된다면 시공이 어렵고, 찍히거나 튀어나온 자국이 그대로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도배→ 필름 순서로 시공한다면 필름을 붙인 가장자리에 실리콘을 쏘는 작업이 추가되어 시공 시간이 늘어나게 됩니다.

전문가 섭외 및 필름 선택 Honey Tip

AS가 가능한지 여부를 사전에 확인하세요. 필름의 특성상 기포가 생기거나 까지거나 떨어지는 일이 많기 때문에 AS까지 책임지는 믿음직한 전문가를 골라야 합니다. 베토벤 인테리어 필름 시공 센터는 시공 후 6개월 간 AS까지 책임집니다.

시공할 면이 고르다면 솔리드 필름을, 다소 울퉁불퉁하다면 무늬가 들어간 필름을 고르세요. 솔리드보다는 우드, 패브릭 필름 등으로 시공했을 때 훨씬 티가 덜 나게 됩니다. 

*입체감 있는 면이나 문이나 벽면처럼 넓은 면을 시공해야 할 때는 전문가를 섭외하는 게 좋습니다. 그게 비싼 자재 비용과 시간을 절약하는 길 입니다.

★인테리어 필름 시공전 사전공지 사항★

  • 1. 시공시 작업자 작업반경에 되도록 고액의 가전이나 가구는 파손 방지를 위하여 보양하시거나 정리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 2. 겨울철 시공시 실내온도가 낮다면 필름이 딱딱하게 얼어서 깨지는 경우가 다반사이며, 구조물이 차갑거나 너무 뜨거운 경우 시공후 기포가 생길 수 있으니 시공전날 실내 온도를 20도 정도에 맞추어 주시고, 시공후 필름이 자리잡을때 까지 2~3일간 실내온도를 20정도 유지하여 주시길 바랍니다.